앱 개발에 대한 지식 없이 적절한 업체를 선정하는 데는 여러 어려움이 발생합니다.
업체와 협의하는 과정에서 개발사와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이 되지 않을 경우, 시간과 돈을 낭비하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합니다.
합리적인 가격으로 앱 제작 전문업체를 선정하기 위해선 명확한 선정 기준과 고려사항에 대해서 알아야 합니다. 안드로이드 앱을 제작할 개발사를 선정할 때 확인해야할 체크리스트를 알려드립니다.
알아봅시다
1. 안드로이드 앱 특징
2. 안드로이드 앱 개발사 선정 시 체크사항
3. 안드로이드 개발사 선정 기준
1. 안드로이드 앱 특징은 무엇인가요?
안드로이드 앱은 오픈 소스 생태계 기반으로 iOS 앱 개발에 비해 제약사항이 적지만 보약에 취약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.
- 오픈소스 기반 안드로이드는 오픈소스 생태계 기반입니다. 오픈소스이기 때문에 무료로 배포된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의 소스코드를 각자 앱을 만드는 하드웨어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.
- 장단점 iOS 앱 개발에 비해 제약사항이 적기 때문에, 안드로이드 환경에서는 거쳐야할 장벽이 상대적으로 적습니다. 하지만 오픈소스 플랫폼은 보안에 취약한 점과 이로 인해 각 통신사별로 업데이트에 제약이 생길 수 있다는 점은 단점입니다.
2. 개발사 선정 시 무엇을 체크해야하나요?
개발사 선정 시에는 ① 개인 프리랜서와 에이전시 중 어떤 전문가가 나에게 적합한지 ② 앱 개발 전 기획이 필요한지 ③ 견적이 지나치게 낮지 않은지 체크해야합니다.
- 개인? 에이전시?: 프리랜서 개발자의 경우, 업체와 비교했을 때 비용이 다소 저렴합니다. 다만 단순 개발이 아닌 기획과 디자인을 함께 하고 싶은 경우, 디자이너와 기획자가 함께 구성된 개발 에이전시가 더 적합할 수 있습니다.
- 기획력: 앱에 대한 구체적인 기획을 세우지 않은 경우 전문 기획자가 있는 업체를 선정해야 합니다. 기획자는 클라이언트와의 미팅을 통해 요구사항과 앱에 대한 상세정보를 바탕으로 완성도 있는 앱을 개발하기 위한 구체적 기획안을 작성합니다.
- 지나치게 낮은 견적: 타 업체에 비해 현저히 낮은 견적일 경우, 출시조차 할 수 없는 퀄리티의 앱을 받아볼 수 있습니다. 이를 피하기 위해선, 관련 내용이 명확하게 기재된 견적서를 제시하는 업체를 택해야 합니다.
3. 개발사 선정 기준은 무엇인가요?
개발사를 선정할 때는 ① 유사 앱 개발 경력 유무 ② 풀스택 개발자 보유 여부 ③ 앱 디자이너 경력 ④ 운영 유지 보수 계약 여부 ⑤ 앱 개발 솔루션 유무를 확인해야합니다.
-
유사 앱 개발 경력: 클라이언트가 요구하는 앱과 유사한 앱을 개발한 경력이 필요합니다. 이전 경험에서 부족했던 점을 보완하여 개발하기 때문에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낮아집니다.
-
Full-Stack 개발자 보유: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선 Full-Stack 경력이 있는 개발자를 보유하고 있어야 합니다.
-
앱 디자이너의 경력: 앱 디자이너는 구현된 앱 이미지의 70~80%를 결정하기 때문에, 최소 3년 이상의 경력을 보유하고 있어야 합니다.
-
운영유지보수 계약: 개발 이후 유지까지 책임지는 ‘운영유지보수 계약’ 시행 업체인지 확인해야 합니다.
-
앱 개발 솔루션 유무: 개발 경력이 많고, 자체적인 앱 개발 솔루션을 가지고 있는 곳이라면 완성도 있는 앱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. 만약 업체만의 앱 개발 솔루션이 없다면 개발자의 기술에만 의존해야 하기에 특정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- 기획 > 디자인 > 개발 = 하나의 프로세스 파이프라인 구축
- 개발 후 검수 & 출시 및 배포까지 의뢰 가능
- 신규 프로젝트, SDK 개발, 기존 프로젝트 유지보수, 기능 추가 모두 가능
- 500만원 이상의 앱 개발을 의뢰할 경우, 1:1 전담 매니저 케어 가능 크몽 엔터프라이즈 >
저희 프로젝트 일정 이슈를 배려해주시면서
추가 문의사항이 필요없을 정도로
명확하고 깔끔한 결과물을 주셨습니다 :)
510개의 모바일 앱 서비스와
1,270명의 모바일 앱 전문가를
크몽에서 만날 수 있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