스마트 기기 보급이 늘어나면서, ‘음원’이라는 단어의 사용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습니다. 일반적으로 음원은 음악이 담겨 있는 CD를 의미하지만, 젊은 세대는 mp3나 음원 판매를 포함한 스트리밍 서비스를 하는 유통사를 떠올립니다.
하지만 음원 및 음악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고, 이를 제작하는 과정 역시 각 유형에 따라 세분화될 수 있습니다.
알아봅시다
1) 음원의 의미
2) 음악·음원 유형별 특징
3) 음악·음원 제작 과정 및 유의할 점
1. 음원의 의미
음원이란 소리가 발생될 때 소리를 발생시키는 장치나 기관, 다운로드 받거나 실시간 스트리밍하여 재생할 수 있는 디지털 음악 데이터 등을 의미합니다. 1990년대 후반 MP3가 대중화되고 이후 스트리밍이 대세가 되면서, 현재는 주로 디지털 음원을 지칭합니다.
2. 음악·음원 유형별 특징
- 디지털 음악 디지털 음악이란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해 유통되는 디지털화된 음악파일을 의미하며, MP3 음악이라고 불립니다. 배포 방법으로는 실시간으로 음악을 들려주는 스트리밍 방식과 음악파일 전체를 전송하는 다운로드 방식이 있습니다.
- CM·로고송 특정 기업이나 제품 로고처럼 그 기업을 알리는 짧은 한 구절의 노래 또는 음악을 의미합니다. 짧은 로고송과 구별되는 30초 광고 음악의 경우 CM송을 뜻합니다.
- BGM ‘Background music’이라는 뜻으로, 영화나 연극 등 각종 컨텐츠에서 분위기를 살리기 위해 동작 등에 맞춰 연주되는 음악을 의미합니다. 영상 분야의 경우 이야기의 분위기를 강조하고, 감정선을 부각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됩니다. 실생활에서는 정신적으로 인간의 피로를 달래거나 고양감을 부추기는 용도로 이용됩니다.
- MR ‘Music Recorded’의 줄인 말로, 보컬 트랙만 빠진 체 녹음된 음원을 말합니다. 노래의 반주가 대표적인 MR 중 하나이며, 본래의 의미는 음반작업을 마친 가수가 공연 시 연주자를 대동할 상황이 안될 떄 사용할 수 있도록 녹음한 음원입니다.
3. 음악·음원 제작 과정 및 유의할 점
- 의뢰 및 상담 음원의 사용 목적과 함께 컨셉, 음악의 분위기 등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레퍼런스를 수집합니다.
- 작업진행 곡의 목적과 장르 및 파트에 맞춰 인력을 배치하고, 추후 일정을 고려해 본격적인 작업을 진행하게 됩니다.
- 레코딩 곡이 완성되면 진행되는 ‘녹음’ 단계로, 발성과 호흡을 지속적으로 체크하며 잡음이 발생되지 않는 전문 녹음실에서 레코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- 믹싱&마스터링 모든 레코딩 작업이 끝나면 모든 소리들을 다듬고 조율하는 믹싱 작업을 진행하게 됩니다. 전체적인 음악에 대한 밸런스를 잡는 과정으로, 정교하고 섬세한 작업이 요구됩니다.
- 앨범 커버 및 음원 유통 디지털 싱글 앨범을 내거나 음원 발매가 필요할 시 선택하는 단계입니다. 일반적으로 앨범 커버사진의 경우 난이도에 따라 10만원 이상의 비용이 별도로 발생합니다.
4. 음악·음원 제작, 전문가가 필요한 순간
- 음원 믹싱·마스터링·앨범아트워크 프로세스 한번에 진행
- 검증된 프로 가수의 녹음 및 보컬 샘플 제공
- 광고음악부터 대중음악까지 제작
“일정이 빠듯해 급하게 요청드렸는데
만족스러운 퀄리티로 작업 마무리해 주셨습니다.
원하는 스타일의 음악이 나왔습니다.”