안녕하세요, 전문가님. 크몽입니다.
디자인 카테고리 전문가님의 역량과 프로젝트·작업 방식을 고려하여 '견적을 산출'하실 수 있도록, KODIA(한국디자인산업연합회)에서 제공하는 디자이너 등급별 노임 단가에 대해 안내해 드립니다.
(*노임(勞賃): '노동 임금'의 줄임 말)
디자이너 등급 기준은 경력과 연차에 따라 구분하고 있어 절대적인 기준이 될 수 없겠지만, 매년 업데이트되는 단가 표가 견적 산출이 어려운 비 전공자, 준 전공자, 초급 디자이너 분들이 최저 외주 비용을 정하는 데 참고 사항이 되기를 바랍니다.
❚ 1. 디자이너 등급 기준에 따른 노임 단가(1일 기준)
출처: 디자인대가기준종합정보시스템
출처: 디자인대가기준종합정보시스템 (2022.12.31까지 적용됨)
❚ 2. 프로젝트 및 작업 방식에 따른 최종 단가 책정
나의 경력과 연차에 따른 노임 단가를 확인하셨다면, 이제는 1개의 프로젝트에 필요한 나의 시간 등을 고려하여 외주 비용을 산출할 수 있습니다.
[필수 고려 사항]
◾ 미팅 제공: 대면 / 비대면 / 유선 상담 등
◾ 리서치
◾ 아이디어 구상
◾ 시안 작업
◾ 수정 작업
[선택 고려 사항]
◾ 작업 난이도
◾ 시안 개수 추가
◾ 수정 작업 추가
◾ 샘플비
◾ 유류비&출장비
❚ 유의해 주세요.
디자이너의 등급별 노임 단가는 해당 경력과 능력을 보유한 디자이너가 합당하게 받아야 하는 작업 비용입니다.
가격 책정 기준이 하나의 판매 전략이 될 수 있지만, 노임 단가 기준 보다 낮은 금액을 설정하시면 아래와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✔︎ 디자이너 생태계 및 프리랜서 노동권 위협
✔︎ 가격 경쟁 심화 및 전문성 저평가
✔︎ 낮은 금액 수준의 저퀄리티 서비스 제공으로 인한 의뢰인 불만족
부디 표면적인 경쟁을 떠나 전문가님의 '시간', '전문성', '노력', '자격'에 대한 충분한 대가를 받으며 즐겁게 일하실 수 있기를 바랍니다.
감사합니다.
📄 참고 문서
[서비스 금액 설정 가이드] 상업용 일러스트 디자인 서비스
[서비스 금액 설정 가이드] 개인용 일러스트 디자인 서비스
[서비스 금액 설정 가이드] 상세·이벤트 페이지 디자인 서비스
[서비스 금액 설정 가이드] 템플릿형 홈페이지 디자인 서비스